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Incredible Miracle 2/2013 시즌

덤프버전 :

||


Incredible Miracle #2 역대 시즌
창단2013 시즌2014 시즌


1.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편집]


Incredible Miracle #2
감독강동훈
Hirai
코치강병률
Spark
로스터
파일:TOP_icon_EDG.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재권
PLL
파일: JGL_icon_EDG.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의진
Reign Over
파일:MID_icon_EDG.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서행
KurO
파일:BOT_icon_EDG.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용범
SoFantasy
파일:SPT_icon_EDG.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인용
BBuing

온라인 예선 B조에서 CTU에게 승리했다. 오프라인 예선 A조에서 SKT T1 #1과 치열한 경기를 펼쳤지만 1:2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2. 이엠텍 NLB Spring 2013[편집]


골드리그, 플래티넘리그를 차례대로 승리하고 다이아리그 8강에서 또 다시 SKT T1 #1를 만났다. Bo5에서 5세트까지 가는 접전 끝에 아쉽게 패배하며 탈락했다.


3. HOT6 Champions Summer 2013[편집]


Incredible Miracle #2
파일:2013 IM 2 Summer.png
감독강동훈
Hirai
코치강병률
Spark
로스터
파일:TOP_icon_EDG.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재권
PL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하
Sylph
파일: JGL_icon_EDG.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호진
Lilac
파일:MID_icon_EDG.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서행
KurO
파일:BOT_icon_EDG.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재호
Scarlet
파일:SPT_icon_EDG.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인용
BBuing

결국 2013년 6월 17일 2013 서머를 앞두고 1팀과 2팀의 리빌딩을 시행했다. 일단 1팀과 2팀의 정글러를 서로 맞바꾸고 2팀의 탑솔이었던 PLL은 탈퇴했다. 그리고 2013 서머에 출전하지 못하게된 VTG의 선수 이재하를 영입했다. 리빌딩 후 인터뷰

리빌딩을 거치고 기세 좋게 서머를 시작했으나 결과만 보자면 "노답 팀이랑 덜 노답 팀을 합쳤다가 다시 둘로 나눴더니 노답 팀이 2개 나오는 마법"을 보여주고 있다.


4. GIGABYTE NLB Summer 2013[편집]


결국 NLB 12강을 앞두고 변경된 엔트리가 공개되었다. 일단 파라곤의 탑 전향을 시작으로 미드킹, 스멥 등 기존 멤버들이 예비 멤버로 자리를 옮겼다는 점 등이 눈길을 끌고 있다. 다만 확정 엔트리가 아니라 차후 시즌을 대비하기 위한 테스트용이라는 모양. 신멤버들도 아직 합격이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한다.

LG전자로부터의 후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저조한 성적이 어쩔 수 없었던 것이라는 동정론도 나오고 있다. # 강동훈 감독이 개인적인 사비로 팀을 운영해 왔다고 하는데 뭐 강동훈 감독은 자업자득이란 평도 있지만.

결국 LG전자로부터의 후원은 완전히 끊기고, 팀명에도 LG가 빠진 IM팀으로 바뀌고 말았다. 2013 - 2014 윈터 본선부터는 유니폼도 바꾸고 LG 스폰서 마크도 사라졌다.

한 시즌 끝나고 리빌딩, 또 그 멤버들이 성적이 안좋으면 또 리빌딩, 또 리빌딩, 이게 3번째다. IM 팬들이 입모아 지적하는 문제가 바로 이것이다. 강동훈 감독이 스타 2 팀과 LoL 팀 둘다 신경써야 해서 바쁘다고 하면, 전담 코치를 영입하는 것이라도 해야 하는데 그런 것도 없이 계속 멤버 교체만 이루어지고 있어 그게 가장 큰 성적 부진의 이유라고 지적받고 있다.

대회에서는 12강 D조 Team Alienware, MiG Blitz와의 경기에서 모두 승리했다. 8강 D조에서는 CTU에게 승리했다. 4강 B조에서는 JinAir Falcons에게 3:0 셧아웃 승리를 거두며 창단 첫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Najin Black Sword에게 1:3으로 패배하며 아쉽게 준우승을 기록하게 된다.

5. 팀별 둘러보기[편집]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LCK 2013 시즌 팀별
파일:external/i1.wp.com/Najin_Black_Sword_logo.png파일:Samsung_Galaxy_Ozone_Logo.webp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CJ_Entus_Frostlogo_square.png
NBSSSOSKT #2CJF
파일:attachment/Kt_rolster_bullets.png파일:CJ Entus BLAZE.png파일:external/ognglobal.files.wordpress.com/c2a6c2ac-c2b0c2bbc2a6s.png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KT.BCJBNWSSSB
파일:Incredible_Miracle_2logo_square.png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Jin_Air_Green_Wings_Falconslogo_square.png파일:Incredible_Miracle_1logo_square.webp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Jin_Air_Green_Wings_Stealthslogo_square.png
IM #2JAG.FIM #1JAG.S
파일:attachment/Kt_rolster_arrows.png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KT.ASKT #1
해당 팀별 목록은 2013년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데 성공한 팀들의 시드별 진출 순위, 따낸 서킷 포인트 점수와 리그 최종 등수 조건에 따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